돈/경제를 보는 눈

[중국 리오프닝] 중국 코로나 봉쇄 푸나?

안녕친구들 2022. 11. 30. 10:10
반응형

중국이 고령자 대상으로 코로나 백신 접종을 강화하겠다는 정책을 뉴스로 보도가 되었습니다.

이는 좋은 뉴스로 해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접종이 거의 대부분 진행된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그래서 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투자자 관점에서는 매우 좋은 소식중에 하나 입니다.

월드컵이 한창인데 골을 넣기 위해서는 패스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다 골을 넣게 됩니다.

이 뉴스가 골을 넣기 위해, 즉, 봉쇄를 풀기 위한, 패스를 진행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중국에 백신 접종이 강화가 되면 리오프닝이 예상보다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관련 수혜주들이 수혜를 보는 시기가 앞당겨 질 것입니다.

봉쇄가 사라지면, 소비가 늘어나게 될 것이고, 공급도 원활하게 될 것입니다.

중국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급 지준유을 낮추고, 부동산에 돈을 풀고 있는데 봉쇄로 인해서 효과가 별루 없습니다.

그런데 봉쇄가 풀린다 그러면 이제 경제가 살아 날수 있다고 보이는 것입니다.

세계 경제의 3대 축인 미국, 중국, 유럽 중에 이중에 하나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은 경제가 여전히 잘 견디고 있고, 유럽은 미국과 중국의 경기를 따라가는 상황이고 여기서 중국이 좋아지면 3대축이 모두 좋아지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것입니다. 경기침체 경기침체 이러는데... 정말 약한 경기침체가 발생하고 다시 경기 상승으로 턴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의 백신 접종에서 중국 백신의 성능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으나,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들이 중국에 판매가 가능하다면 중국은 리오프닝을 자신있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데요... 중국과 미국의 협상중에 이런 코로나 백신 사항이 들어 있지 않을까 가정해 봅니다. 중국 같은 경우는 제로코로나 때문에 시위도 많이 일어나고, 이것이 반정부 시위로 확산될 우려도 있습니다. 정치적으로 변질 되기 전에 중국정부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봉쇄 후 강제진압이냐, 봉쇄 점진적 해제냐... 백신 접종 강화한다는 정책이 나온 것을 보면 후자를 선택하기 위한 당위성의 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 봉쇄가 해제되면
원유가 상승, 원자재가 급 상승
부품, 공산품 부족현상 해소

중국 봉쇄가 해제되면

내년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은 늘고 수요가 줄어들게 되는 상황을 맞게 될 것입니다.

재고가 빠르게 늘고 제품가격이 빠르게 하락하게 되어 증시가 원했던 소비자 물가지수가 빠르게 내려가게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의 봉쇄해제로 중국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잡기 위해 환율에 대한 개입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문제로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대규모로 가지고 있는 미국 국채를 매도를 통해서 위안화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가 안정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국채 매도에 대해 정책 변화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금을 중국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돈이 될 것 같으면 어디든 못가겠습니까? 이런 분위기에서 미중 갈등의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고 보면

중국 주식이 저평가 되어 있다는 이 시점에 환차익까지 노리고 투자자들은 중국으로 빠르게 유입되고 환율도 안정화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중국 문제는 해결이 되고 나머지 러시아 문제가 남게 됩니다.

언젠가는 해결되는 사항으로 이 두 문제가 해결되면 증시에는 더할 나위 없는 시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