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점 3

[주식] 후회하기 전에 지금 매수하는 것이 좋을걸요.

지금 매수하지 않으면 평생 후회 합니다. fed가 연일 거친 발언을 계속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하면.. 주가가 오르길 원치 않기 때문입니다. 주가가 오르면 어떤 문제가 생기느냐 하면 내가 부자가 된 기분을 느끼게 합니다. 그럼 부자되는 느낌을 받으면 어떻게 되느냐 하면 "오늘 내가 한턱 쏜다" 이겁니다. 소비를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자산 증가로 소비가 증가하면서 물건 가격이 상승하고, 결국 인플레이션이 오르겠죠. 이러니까 fed가 "자산들아 오르지말고 아가리닥치고 가만히 있어라" 라고 할때 이때야 말로 분할 매수할 기회입니다. 우리가 해야 할것이 무엇입니까? 주가가 잠잠할 이 때 우리는 주식을 사야합니다. 우리는 늘 주가 오를 땐 환호하고 코스피 4000천 간다, 5000천 간다라고 하다가 주가가 하락할..

돈/주식 2022.11.13

[투자] 부자의 기회가 왔다 - 미국증시 저점

미국 중간선거로 몇일간 대체적으로 주식이 상승하였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이것보다는 당장 목요일에 있을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당분간의 시장 흐름을 결정지을 최고 중요요소이기 때문에 어차피 시장은 현재 CPI만을 바라보고 있을 것입니다. 달러가 강달러에서 약달러로 추세가 변경되나? 결국 시장의 관심은 어쨌든 목요일 발표될 소비자 물가 그리고 그로 인한 금리정책 그리고 궁극적으로 달러의 기치로 집중되게 되어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CPI --> 인플레이션 정도 확인 --> 금리 정책 변화 --> 달러 가치 변경의 순으로 넘어간다는 것입니다. 달러는 현재 고점 징후를 만들면서 절정을 달려갔었고, 연준이 시장의 예상을 급격하게 뛰어넘는 수준의 금리 인상만 하지 않는다면 이것이 달러의 이번 사이클 최정점..

[주식] 투자 적기는?

투자라는 것은 도대체 왜 하는 것일까요? 투자를 안하면 안될까요? 인적자본 그러니까 열심히 일해서 번 현금 이것을 금융자산으로 전환하는 투자를 하라, 안타깝지만 사람은 영원히 일할 수 없습니다. 노동 소득을 죽을 때까지 벌어야 하므로, 현금이 생기면 자산으로 전환하여야 합니다. 돈이 생기면 자산을 사야 합니다. 노동 소득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내가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것이 투자의 기본 포인트 입니다. 워렌버핏이 얘기한 당신이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지 않으면 평생 일해야 할 것이다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흔히 얘기하는 돈이 돈을 벌게 하라 그 얘기입니다. 현금이라는 자산 현금성 자산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구매력이 끊임없이 녹고 있기 때문..

돈/주식 2022.10.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