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경제를 보는 눈

미국 SVB 은행 파산이 미치는 영향

안녕친구들 2023. 3. 11. 18:36
반응형

아래와 같이 어제 포스팅한 바와 같이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이 파산을 한 것이 고용보고서의 실업률 증가, 임금 상승률 둔화의 좋은 면 보다 더 많이 반영되어 미국의 3대지수가 많이 내렸습니다. 스타트업에 집중된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 SVB가 파산하게 된  이유는 계속되는 고금리 정책 때문입니다. 스타트업 기업들은 유동성이 부족한 기업들입니다. 그런데 긴축정책이 계속되자 기업들의 유동성이 고갈되었고, 이로인해 유동성이 고갈된 기업들이 예금을 인출해 가기 시작합니다. 결국 지급준비금이 부족해지는 은행이 가지고 있던 증권을 팔아 부족해진 현금을 채운 것입니다. 

 

고금리 정책 > 유동성 고갈 >  예금 인출 > 지급준비금 부족 > 증권 팔기 > 현금 보충

 

 


미국 월스트리트의 대형 은행들이 9일(현지시간)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초기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습니다. 
실리콘밸리의 한 금융회사가 보유 증권의 대량 매도를 발표한 것이 직접적 도화선이 됐지만, 그 배경에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자리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자산 규모 기준으로 미국의 4대 은행에서 이날 총 520억달러(약 68조6천억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됐는데, JP모건체이스가 220억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가 160억달러, 웰스파고가 100억달러, 씨티그룹이 40억달러를 각각 허공에 날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금융섹터는 이날 4.1% 떨어져 2020년 6월 이후 최대폭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의 지주회사인 SVB파이낸셜이 거의 18억달러의 손해를 보고서라도 매도가능증권(AFS·만기 전 매도할 의도로 매수한 채권과 주식) 대부분을 팔겠다고 선언한 것이 은행주 투매 현상에 불을 당겼는데, SVB파이낸셜 주가는 이날 하루에만 60% 이상 폭락했습니다. 지난 1년 간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여파로 이 은행 AF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 국채 가격은 크게 하락(국채 금리는 상승)한 상태로, 통상 은행들은 손해를 보면서 보유 채권을 매각하려 하지 않지만, 예금 대량 인출 우려가 제기될 때는 매도를 결정할 수 있다고 하네요. 

 


 

 

 

계속되는 고금리 정책으로 SVB 파산함으로써 화들짝 놀란 시장 투자자들이 미 연준이 이 상황을 보고 50BP를 올리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전 50bp 올린다는 배팅이 50%를 넘던 것이 이후 30% 대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한 은행이 파산하는 도미노가 무서워, 자산시장의 리스크 때문에 가장 안전한 금과 미국 국채 매수세가 강화되어 미 국채 채권 금리는 상당한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런데 미국 역사상 2번째로 40조 미국은행이 파산 결정까지가 고작 14시간 걸렸습니다. 뭔가 싸합니다. 

이사태가 발생되기 전까지 SVB의 주가는 300달러 정도 거래되었습니다. 그러다 유상증자 뉴스가 나오면서 주가가 100달러가 되었고, 애프터 마켓에서도 20% 하락했었는데, 어제밤 장전에는 -60% 내린 40달러 정도선에서 주가가 왔다갔다 하다, 본장 열리기 한 시간 전에 거래가 정지됩니다. "보류중인 뉴스로 인해 거래가 중단되었다" 라고 표시되었는데요... 장이 열리면 피해자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뉴스가 확정된 다음에 재개를 하겠다라는 조치가 취해졌고, 그리고 나서 SVB는 자본 조달 계획이 실패했다고 하면서 매각밖에 남지 않았다며 CNBC를 고용했다 라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누가 그걸 무턱되고 사줄 수 없겠죠.. 결국 정부가 인수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이게 고작 14시간만에 발생되었습니다. 그만큼 미 정부에서는 가볍게 보는 사항이 아니라는 것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SVB가 가지고 있었던 것은 결국 미국 국채 인데요... 국채를 통해서 이런 현상이 나왔는데... 다른 은행은 과연 영향이 없을지 모르겠습니다.

 

결국 여러 은행이 미 국채와 관련된 문제가 있다면 해결책은 미국 국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국채 금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하는데요... 현재 인플레이션이 한창인 시점이 문제입니다. 미국이 행할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 정도이고 예상하여 포스팅한 건이 여기에 있습니다.  https://dalsim777.tistory.com/138

 

과연 금리를 더 올리지 않을지.... 미국 국채를 너도나도 사게끔... 빨대 꼽을 나라를 조질지.....

 

3월 14일 화요일 발표되는 CPI가 정말 운명의 날이 될 것 같습니다. 

작금의 이런 상황을 보고 연준이 금리를 내리고 싶은데... 근거가 없으니... CPI가 좋게 나와 준다면 아마... 단기 랠리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