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멘탈

주식투자에 실패하는 원인, 부자되는 길

안녕친구들 2023. 8. 7. 11:05
반응형

 


니가 보는 이 파란 색이 내가 보는 파란색과 같을까?

그대는 이 세상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나라는 몸뚱아리가 있고 왜 바깥에 세상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가?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은 편안한 초록색에서부터 강렬한 빨간색 까지 온갖 색깔들로 가득 찰까?

그런데 그것을 아는가? 이 색깔 들은 사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왜 존재하지 않는다고 얘기했을까? 그것은 우리의 뇌가 특정 파장은 파란색으로 또 다른 파장은 빨간색으로 느껴 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사과를 빨간색으로 느꼈다면, 우리가 그 빨간색 빛의 파장을 최첨단 기기로 분석할 수는 있지만,

절대로! 그대가 이걸 어떤 색으로 보았는지 알 수 없다.

그냥 우리는 다같이 이 색깔을 "빨간색" 이라고 부를 뿐이다.

그대가 빨간색으로 보는게 내 안에서는 파란색으로 보이던, 그대가 파란색으로 보는게 내 안에서는 빨간색으로 보이던 우리가 각각의 색깔을 서로 구분지어 대화 하기만 하면 소통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대는 지금 이 블로그를 보기 위해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것도 마우스에 손을 올리고 있는 것도 아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 원자에는 원자핵과 전자가 있는데, 이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계속 맴돌고 있다.

그런데 이 전자들은 서로 - 전하를 띠고 있어서 자석이 같은 극을 밀어내듯 서로를 아주 강력하게 밀어 내어 절대 서로 닫지 않는다. 

 

 

반응형

 

내손 위에 있는 스마트폰을 내가 손으로 들고 있는게 아니라 내 손위에 붕 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내 손에 닿는 느낌이 난다면 그건 너의 머리가 만들어낸 느낌일 뿐이다.

그대가 지금은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은 사실 의자를 구성하는 전자 위에 붕 떠 있는 것이고,

그대가 길을 걸을 때 땅을 구성하는 전자 위에 최대의 발이 붕 떠 있는 것이다.

내가 아무리 힘을 줘서 두손을 맡닫게 하려 해도 절대 그렇게 할수 없다.  닫는다고 내가 느낄 뿐이다.

 

세상이 바깥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가 당연하지만 우리는 눈으로 세상을 본다.

그리고 그 세상은 다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교과서에서 보았 듯이 원자는 이렇게 전자 양성자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원자에 99.9999999999 퍼센트 는 비어 있다.

만약 양성자의 크기를 축구공 만 하게 만들고 남산 타워 꼭대기에 두면, 전자의 크기는 탁구공 크기보다 작은 사탕 크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사탕은 강남역에서 돌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다.

 

우리의 눈은 가시광선을 통해 사물을 보는데, 그 가시광선이 주위에서 맴도는 작은 전자를 뚫지 못하고 다시 튕겨 나오기 때문에 텅 빈 공간에 무엇인가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가시광선이 아닌 x 선으로 볼수 있는 엑스레이 기계로 세상을 보면 세상은 뚫려있다.

 

 

 

빈공간을 제외하고 나면 한 사람을 구성하는 원자핵과 전자는 다 모아도 먼지 한톨 밖에 되지 않는다.

아니 70억 인구를 데려와 그들의 빈 공간을 제외한 원자핵과 전자를 다 합쳐도 각설탕 크기의 아주 작은 상자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70억 인구 모두를 말이다.

 

그런데 우리가 바깥에서 보는 것은 각설탕인가? 사람인가?

세상이 바깥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가?

놀랍지만 세상이 바깥에 존재한다는 증거는 아무 데도 없다.

그대 앞에 펼쳐진 이 세상을 그대의 뇌만 있으면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대가 팔다리로 직접 느끼지 않아도 뇌에서 팔다리로 느끼는 부분을 자극하면 실제로 팔다리로 느끼고 있는 것처럼 느껴질 것이고, 그 대가 좋아하는 맛있는 음식도 특정 뇌 부위를 자극하면 그 맛을 똑같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뇌는 눈도 코도 귀도 어떤 감각기관 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우리가 보는 색깔, 우리가 느끼는 촉감, 우리가 보는 세상은 다 머릿속에만 존재한다.

그대가 그렇게 느끼는 세상은 오직 그대만 느끼는 세상인 것이다.

그대가 보는 파란색이 나와 같은 파란색이 아닐테니까.

 

 

 

그대 앞에 펼쳐진 세상은 그대가 혼자서 만든 것이다.

그 유명한 양자역학 실험, 이중슬릿 실험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주인공의 실험실에서 이렇게 이중 슬릿을 두고 전자를 쏘아 본 것인데 연구원들은 당연히 전자가 아주 작은 운과 같은 입자 이므로 여러 번 쏘면 반대쪽 벽에 두 줄의 무늬를 그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실험 결과 이 입자들은 두줄이 아닌 여러 개 줄을 그린 것이다. 마치 이 전자들이 입자가 아니라 파동 인 것처럼 말이다.

 

 

 

이 괴상한 결과를 두고 연구원들을 입자가 이중 슬릿을 어떻게 통과하게 되어 파동 처럼 움직이나 관찰해 보았다.

그러자 이 전자들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두 줄이 되어 나타났다.

 

 

마치 자신들이 관측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관측하지 않을 때 파동이 였던 녀석들이 관측을 하니까 다시 입자가 된 것이다.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다.

이를 두고 아인슈타인이 이렇게 물었다.  "그러면 내가 저 달을 보지 않으면 달이 없는 것이냐?"

그럴지도 모른다 존재가 오리를 만든게 아니라 우리가 존재를 만든 것인지도 모른다.

우주의 초기 형성과정을 연구하여 기초 물리학 상을 받은 안드레이 린덴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 모두는 의식을 가진 인간이다. 그러므로 이 우주가 관측자 없이도 존재할 수 있다는 근거는 없다.

 

사람들은 이 광활한 우주를 보며 자신이 하찮타 느끼고 우주의 먼지 에 불과하다 하며 허무주의에 빠진다.

그리고 보잘 것없는 자신에게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신을 믿는다.

 

하지만 이 우주는 그대가 없으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광활한 우주는 138억년이 지나 그대 가 나타나며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우주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 바로 그대 자신이다.

 

그 색깔, 그 감촉, 그 느낌은 외부세계의 모습이 아니라, 우리 내면의 모습인 것이다.

다른 사람은 아무도 알 수 없고 그대만 느낄수 있는 세계.....

이 세계는 그대가 눈을 뜬 것과 동시에 생성되어, 그대가 눈 감는 동시에 소멸된다.

 

나와 세계는 분리 되지 않는다.

나는 내 안을 볼 뿐이다.

그대가 세상이다.

이곳에서 진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는 세상은 그대 의식 그거 하나니까 ....

 

그대가 주식 투자에 성공하여 부자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은...

그대의 관측이 그런 세상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대가 눈을 감고, 아침에 눈을 다시 뜰때, 성공하여 부자가되는 관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