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하 3

금리인하? 뱅크런의 나비효과

금리인하 이야기가 지금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무슨 내용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준의 비공식인지 공식인지(?) 헷갈리지만 거의 대변인으로 알려져 있는 닉 티미라우스(Nick Timiraos)의 기자가 어제 쓴 기사가에 그런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에는 원래 예금을 할 수가 없죠. 한국은행에 예금하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없으실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그림 보시는 것처럼 중앙은행으로 연준에게 지금 돈들이 역레포라는 이름으로 엄청나게 많아지고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역내포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레포(Repo)를 알아야 되는데요, 레포라는 것은 환매 조건부 채권 매매입니다. 무슨 말인지 아시겠나요? 괜찮습니다. 몰라도.. 미국의 경우에 역레포(Reverse Repo)는 뭐냐 역..

고용보고서 하나로 분위기가 바꼈다고?

지난 금요일 발표된 고용 보고서의 강력한 고용시장의 영향으로 시장의 분위기는 조금 바뀐 것으로 생각됩니다. 1월 비농업 부분 고용의 충격적인 데이터로 식지 않는 노동 시장을 확인하였고, Fed의 금리 인상 기조는 꺾이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강해진 결과입니다. Fed Watch에 따르면 3월에 이어 5월 FOMC까지 25bp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불과 지난 주 만해도 5월 FOMC에서는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이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고용지표로 인해 한주만에 분위 기가 뒤바뀐 상황입니다. Fed가 5%대 이상의 금리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반영된 것입니다. 어제 영상에서도 설명드렸지만 당분간은 횡보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보다 Fed의 피벗 시점은 길 ..

돈/주식 2023.02.07

1월 CPI와 시장 반응은? - 미국 기준금리, 금리인하 시기 시나리오

운명적인 미국의 1월 CPI 발표를 하루 앞둔 시장은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3대지수 모두 강하게 상승하며 마무리 되었습니다. 나스닥은 1.7% 넘게 오르는등 전반적인 시장 강세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렇게 시장이 강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연준이 결국 최종 금리 5%에서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고, 금리 인하는 11월에 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배경은 모두 CPI의 자신감 때문입니다. 물론 금리 인하시기는 고용과 연계된 것으로 보여 고용강세의 정도에 따라 시점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여지가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남은 금리인상은 가격에 먼저 선반영되었다는 공감대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종금리가 5% 이고, 금리인하가 11월 쯔음 시작된다는 가정하에 바닥은 22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