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표일 3

1월 CPI와 시장 반응은? - 미국 기준금리, 금리인하 시기 시나리오

운명적인 미국의 1월 CPI 발표를 하루 앞둔 시장은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3대지수 모두 강하게 상승하며 마무리 되었습니다. 나스닥은 1.7% 넘게 오르는등 전반적인 시장 강세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렇게 시장이 강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연준이 결국 최종 금리 5%에서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고, 금리 인하는 11월에 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배경은 모두 CPI의 자신감 때문입니다. 물론 금리 인하시기는 고용과 연계된 것으로 보여 고용강세의 정도에 따라 시점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여지가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남은 금리인상은 가격에 먼저 선반영되었다는 공감대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종금리가 5% 이고, 금리인하가 11월 쯔음 시작된다는 가정하에 바닥은 22년 ..

[증시] 2023년 1월 미국 주요 일정

2023년 1월에는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 및 기존 인플레이션과 연계된 각종 지표가 또한번 중요한 사항으로 간주되어 그 발표 날에 증시가 출렁일 수 있습니다. 실적에 대한 대체적인 시장의 기대치는 낮으나, 한국의 삼성전자나, LG전자의 경우와 같이 낮은 기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경우 미국 주식의 특성상 많은 변동성이 발생될 수 있으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금일(1/10)은 중국 실물 지표 이외에 미국 연준의장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어제도 연준위원들의 강도높은 언사로 주식이 오르다 상승폭을 대부분을 반납했는데요, 오늘도 좋은말 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아야 하는 연준의 현 상황의 특성상 현재는 주식사장과 친화적인 발언을 하기 힘든 상..

[증시] 1월 CPI가 중요한 이유, 그리고 예상치는?

1월 CPI 발표일은 1/12 다시 CPI가 돌아왔습니다. 1월12일에 발표될 CPI가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12월달에 확 내려간 CPI로 이제 상품 인플레이션은 걱정없이 내려간다 라고 생각하고 CPI지표가 더이상 중요 이벤트가 안될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으나, 지난주 발표된 고용 및 임금 보고서에서 나온 데이터가 애매하게 나와 그 값이 우리가 바라는 값인지를 검증할 방법이 이젠 CPI 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잘못 나오면 지난 주 오른 것 다 뱉어 내놔야 합니다. 다시 기대치를 만족한다면 투자자들은 안심하고 좀더 분위기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즉, 고용이 탄탄해도 인플레이션이 내려갈 수 있다는 컨센서스가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대치는 6.6% 입니다. 지난달에는 7.1%가 나왔구요. 7.1%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