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폭락 3

[부동산] 지금 어디로 가고 있나? 이번 겨울 어떤 일이...

11월말 전세대출 금리가 미친 수준의 대출금리가 산출 되고 있는 듯 합니다. 원래는 4.3% 정도 나와야 하나 6~7% 정도 나왔다는 것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에 자금 수요 급증에 따른 프리미엄 금리가 추가로 1.5% 더해져서 이런 현상이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전세 대출금리 일반적인 경우 기준금리 3.0% --> 예금금리 3.5% - 전세대출 금리 4.3~4.7% 현재 기준금리 3.0% - 예금금리 5% - 전세대출 금리 6~7% 전세 수요의 멸종으로 2023년 겨울은 빙하기 이런 높은 전세 대출 금리가 높으니 전세 수요가 씨가 말라가고 있습니다. 전세대출 금리가 주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매매 호가는 동일하거나 천천히 내려오고 있으나, 전세 호가는 계속 빠지고 있습니다. 지금 전세가 매매..

돈/부동산 2022.11.25

[부동산] 내집 마련은 언제?

부동산의 라이프 사이클은.. 지금은 본격적인 하락장으로 들어갔다라고 생각이 들고, 생각보다는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실제 본격적인 하락은 내년 2023년으로 잡았으나, 올해는 하락으로 가는 정체기, 정체기로 들어왔다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 "거래 절벽"으로 최근에 가장 이슈가 된 사항입니다. 거래절벽이 나타나는 현상은 안사는 사람은 안사고, 파는 사람도 안팔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대부분 정체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금도 거래절벽이 있으나, 정체기에서 하락장으로 넘어갔다고 보고 있습니다. 빠르게 하락장으로 넘어간 원인은 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부동산은 매매시장과 임차시장이 번갈아 가면서 에너지가 넘어갑니다. 하락장에서는 자연스럽게 매매시장이 죽으면서 임차시장으로 넘어갑니다. ..

돈/부동산 2022.11.04

[부동산] 저점은 언제인가?

외부에서 커다란 금융위기가 닥쳐 자산 가격이 일시에 무너지는 부동산 폭락 시나리오가 현재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폭락과 함께 빠른 반등이 발생될 흐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연쇄 재정위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부동산 바닥이 빨리 올수 있을까요? 금융위기가 발생되면 경기침체가 급락하게 되고 원자재 가격도 급락하고 소비 위축이 급격히 발생됩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내에 시중에 유동성이 증발하며 유동성 증발은 부동산에 직격탄이 됩니다. 이런 모습을 보고 결국 중앙은행이 개입을 하게 되는 빌미를 주게 되는 것입니다. 저물가, 저성장 금융불안정으로 파격적인 통화정책을 꺼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 왔던 것입니다. 그..

돈/부동산 2022.1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