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 4

강달러 미국의 움직임과 미국국채 그리고 세계경제위기

강달러로 인해 각국의 환율 방어를 위해 가지고 있던 미국국채를 팔아 그 돈으로 달러 방어를 합니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문제가 상당히 복잡한데요... 일본은 지금도 마이너스 금리를 통해 통화 팽창 정책을 쓰고, 장기 금리인 YCC정책을 고수함으로 금리를 무한정 내리 누르고 있습니다. 이것은 일본 중앙은행이 국채를 무한정 사들이고 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자그마치 111조엔을 사들였는데... 올해들어서는 더 치솟고 있습니다. 올해 1월달 같은 경우 한달에만 24조엔 가까이 어치를 사들였습니다. 이것은 누군가의 엄청난 일본 국채의 매도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본 기관, 국민들 외에 헷지펀드가 공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본은 통화팽창 뿐만 아니라 재정을 통해서도 돈을 풀고 있습니다. 일본은 세입..

[증시] 일본 사실상 금리인상, 미국 주식 선물 출렁~~

오늘 선물시장에 갑작스럽게 빠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나스닥은 거의 1.3% 넘게 빠지기도 했는데요. 그 이유가 일본의 사실상 금리 인상 효과를 내는 완화정책 축소를 결정했습니다. 단기 금리는 마이너스인 현상태를 유지하고, 장기 금리를 0.5% 정도 올렸습니다. 일본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 아닌가? 이런 분석들이 나오게 되고 그러니 시장이 갑자기 출렁거리다 조금씩 회복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 엔화가 솟아 오르고, 아시아 증시는 다 내리고... 일본이 갑자기 정책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 시장이 매우 예민하게 반응을 보였습니다. 일본이 금리 인상의 예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약 5개월전에도 엔화 가치 폭락으로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하려한다는 소문이 돌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

[부동산] 저점은 언제인가?

외부에서 커다란 금융위기가 닥쳐 자산 가격이 일시에 무너지는 부동산 폭락 시나리오가 현재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폭락과 함께 빠른 반등이 발생될 흐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연쇄 재정위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부동산 바닥이 빨리 올수 있을까요? 금융위기가 발생되면 경기침체가 급락하게 되고 원자재 가격도 급락하고 소비 위축이 급격히 발생됩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내에 시중에 유동성이 증발하며 유동성 증발은 부동산에 직격탄이 됩니다. 이런 모습을 보고 결국 중앙은행이 개입을 하게 되는 빌미를 주게 되는 것입니다. 저물가, 저성장 금융불안정으로 파격적인 통화정책을 꺼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 왔던 것입니다. 그..

돈/부동산 2022.10.30

[세계] 일본은 지금... 저출산 대책...

평생 결혼을 못하는 일본인은 얼마나 될까요? 1980년 일본의 남녀 96% 이상이 기혼이였습니다. 40년 뒤의 오늘은.... 일본의 남성 10명 가운데 2.5명, 일본여서 10명중 1.6명이 평생 독신으로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인들은 지난 40년 사이에 결혼이 싫어진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OECD중 일본인들은 결혼이 가장 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결혼은 하고 싶은데 독신 비율이 높은데요.. 도대체 왜 그럴까요? 1995년 인류 최초로 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이 2040년 무렵부터 정점찍고 감소하는 고령자 비율로 진입합니다. 저출산 국가이긴 하지만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는 아니게 되는 겁니다. 고령화의 파고를 넘으면 남은 문제는 저출산 입니다. 고령화가 저출산보다 무서운 이유는 국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