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율 3

[증시] 일본 사실상 금리인상, 미국 주식 선물 출렁~~

오늘 선물시장에 갑작스럽게 빠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나스닥은 거의 1.3% 넘게 빠지기도 했는데요. 그 이유가 일본의 사실상 금리 인상 효과를 내는 완화정책 축소를 결정했습니다. 단기 금리는 마이너스인 현상태를 유지하고, 장기 금리를 0.5% 정도 올렸습니다. 일본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 아닌가? 이런 분석들이 나오게 되고 그러니 시장이 갑자기 출렁거리다 조금씩 회복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 엔화가 솟아 오르고, 아시아 증시는 다 내리고... 일본이 갑자기 정책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 시장이 매우 예민하게 반응을 보였습니다. 일본이 금리 인상의 예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약 5개월전에도 엔화 가치 폭락으로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하려한다는 소문이 돌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

[증시] 발표된 지표를 통해 시장의 관심이 바뀐다

파월 연설을 통한 앞으로 연준의 강한 긴축이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감고 연설에 따른경기침체 우려, 어제의 큰 상승에 따른 일부 조정 매물로 오늘은 보합세를 이루고 끝이 났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그간 지지선으로 여겨져 오던 3.7을 깨고 급락을 하고 있습니다. 결국 금리인상 피크아웃과 경기침체의 일정부분 반영하고 있는 것입니다. 환율도 계속 하락중에 있습니다. 전문가라는 작자들이 1500원이 넘을 것이다라고 떠들어 대더니 이젠 1300원도 위태롭습니다. 전부 모르면서 이렇게 될 것이다, 봐라 내가 그랬잖아.. 이런 작자들이 참여하는 시장입니다. 너도 모르고 나도 모르고, 주식 오르고, 내리는 걸 아무도 모릅니다. 그냥 좋은 회사 가치를 알고, 꾸준히 저점이라고 생각되는 상황에서 사서 쟁여두면 되는..

돈/주식 2022.12.02

[부동산] 현 시점에서의 부동산 점검

현재 미국 예일대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금융분야에서 권위자중 한명으로 꼽히는 로버트 쉴러 교수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인원중 부동산을 연구한 유일한 분으로, 1890년부터 현재까지 미국의 부동산 가격을 추적해보니, 1890부터 100년간은 물가 상승과 거의 동일하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1990년부터 지난 100년간의 흐름과 다른 사항이 나타납니다. 케이스-쉴러 주택가격지수가 있는데 1990년대에 그 지수가 80 였는데.. 최근에 그 지수가 320까지 올랐습니다. 130년 역사중에서 최근 30년동안 부동산이 물가보다 4배가 더 많이 올랐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상대적으로 비교이니 전세계적 물가가 너무 안정적이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질 주택가격은 물가를 제외한 것입니다. 지난 10..

돈/부동산 2022.11.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