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의 악몽을 떠올리게 했던 CS를 UBS가 인수하기로 극적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어제 밤 12시경만해도 10억달러 인수 금액으로 논의 결렬 되었다고 했었는데요... 이후 다시 협의가 잘되어 3배가 높은 32억달러에 되었네요.
덕분에 월요일 한국금융시장의 블랙먼데이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기사가 있네요. 블랙먼데이가 나올 정도로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이 글로벌 은행으로 파급력이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인수 사항은 스위스 정부와 스위스 국립은행은 현지시간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스위스 연방 정부와 금융감독청, 스위스 국립은행의 지원 덕분에 UBS가 크레디트스위스를 인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인수 총액은 32억3천만 달러, 우리돈 41조원이 넘으며 CS의 모든 주주는 22.48주당 UBS 1주를 받게 된다고 스위스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지난 17일 종가 기준으로 CS의 주당 가격은 1.86 스위스 프랑이며,, 달러로 환산하면 약 80억 달러 규모입니다.
UBS는 인수 이후 CS의 투자은행 부문을 축소할 계획이며 통합 법인의 CEO는 랄프 해머스 현 UBS 대표가 맡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스위스 국립은행이 이번 인수의 성공을 위해 최대 1천억 달러의 유동성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스위스 정부도 "인수가 완료될 때까지 추가적 유동성 지원을 통해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연방 의회도 정부 조치에 적극 동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인수로 유럽 금융시장은 빠르게 안정을 찾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한편, 휴일인데도 불구하고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는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스위스 당국의 발표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자기나라 은행도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타국 정부가 논평을 내놓았네요.
금융권에 의한 금융위기가 해결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에는 인수가 마무리될 때까지 돌발 변수가 나타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또 어디서 어떤 일이 나올지는 아직 기다려 봐야 할 일입니다.
이번주는 FOMC 회의가 있고, 기준금리 인상이냐? 동결이냐를 두고 시장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3월21일 화요일날 발표에서는 현재 0.25% 인상이 컨센서스가 높은 상태입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는 없는 경우 0.25%가 오를 것이라는 것을 예상하기 때문에 이번 FOMC에서는 회의 이후 FOMC의 기자회견에서의 피봇 상태, 그리고 연준의원들의 기준금리에 대한 의견을 모은 점도표등이 관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난 1년넘게 지속적으로 지수가 내려서 투자자들을 괴롭히고, 기준금리가 올라 왔었기 때문에 이제는 뭐가 어떻든간에 기준금리의 인상의 마무리, 그리고 인하등이 점점 가까워지는 일만 남은 상태입니다. Buy the dip이라고 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분할 매수하는 작전은 나쁜 방향이라고 말하기 어려울 듯 합니다.
'돈 > 경제를 보는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위기 맞은 FRC(퍼스트리퍼블릭은행), FOMC 앞두고 지표는? (1) | 2023.03.21 |
---|---|
미국은행 파산등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다시 양적완화(BTFP)를 한다? (0) | 2023.03.20 |
SVB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 은행 파산위기 (0) | 2023.03.15 |
소비자물가지수 CPI 확인 - 좀 애매한데... (0) | 2023.03.14 |
SVB 은행에 이어 뉴욕 시그니처 은행 도산 도미노 파산되나?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