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주식

[CPI] 오늘밤 CPI로 팝콘 터진다

안녕친구들 2022. 12. 13. 12:47
반응형

오늘과 내일 완전히 시장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이벤트의 발표가 있습니다. 화요일에는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가 있고 수요일에는 FOMC 금리 발표가 있습니다.

 

생산자 물가의 경우 꽤 좋은 지표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지난달 8.3%에서 0.8%나 하락한 7.4%가 나왔음에도 당일 시장은 하락했습니다. 그 이유는 기대치가 너무 높았다는 것입니다.

 

PPI

 

이번에 발표된 CPI는 생산자 물가의 기대치가 높았다는 점은 감안하고 시장은 바라 볼 것입니다.

현재 시장의 예상치는 지난달 7.7% 상승보다 0.4% 하락한 전년대비 7.3% 상승이고 근원 CPI 예상치는 지난달의 6.3% 상승보다 0.2% 낮아진 전년대비 6.1% 상승입니다. 이것은 생산자 물가에 비해 상당히 현실적인 예측치라고 생각이 됩니다. 

 

 

 

CPI 예측치가 PPI와는 다르게 달성가능하지 않을까 예상도 해봅니다. 왜냐하면 전체 CPI에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유가가 11월에 고점대비 20%나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CPI에서도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또한 CPI에서 31%의 비중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주거비도 상승폭이 상당히 둔화 되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택시장의 경기도 현재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최악이라는 얘기가 나돌고 있고 실제로 집값도 오름세가 꺽인지 거의 반년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주거비의 최고의 선행지표로 사용되는 질로우 렌트비용 통계치가 현재 급격하게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결국 에너지 및 주거비가 내리거나 상승폭이 둔화된 경우로 생각할 때 이번의 예측치인 7.3%에는 미트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래는 동일한 예측치를 내세운 JP모건의 헤드라인 수치를 놓고 확률을 제시했습니다.

 

1. 7.8% 이상 (5% 확률) --> S&P500 4~5% 하락 
    투자자들은 일회적 이상현상인지, 또 다시 상승세가 가속화되는 것인지 묻게 될 것이며, 단기적 물가 전망은 중국의 경제 재개 확대로 흔들릴 수 있다. 이런 경우 아득해 질 수 있습니다. 황망하고 쓸쓸한 년말을...

 

2. 7.5~7.7% (25% 확률)  --> S&P500 2.5~3.5% 하락

    올해 CPI는 예상보다 0.1~0.3% 포인트 웃돈 적이 많은데, 0.2% 포인트 이상의 상회할 때 평균적으로 -2.3%의 S&P500 지수 하락이 왔으며, CPI가 7.5%를 넘으면 지금의 베어마켓 랠리 상황을 고려하면 더 극적인 하락을 볼 수도 있습니다. 쓸쓸한 년말을....

 

3. 7.2 ~7.4% (50%확률) --> S&P500 2~3% 상승
    시장 예측과 같은 수준의 발표는 현재 투자자 포지셔닝을 감안할 때 시장에 긍정적입니다. 포지셔닝은 11월보다는 가볍진 않지만, 역사적 잣대에 비춰 낮습니다. 이는 숏커버링을 촉발해서 단기적으로 트레이딩 레인지를 3700~3900에서 3850~4150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4. 7.0 ~7.2% (15%확률) --> S&P500 4~5% 상승

    이런 긍정적 수치는 비록 그 다음날 FOMC에서 제시할 점도표에서 더 높은 최종 금리가 찍혀 나올 것이란 예상에도 그 최종금리에 대한 예상을 끌어내릴 수 있습니다. 강세론자들을 대답하게 만들 수 있으며, 원자재 가격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더욱 가속도가 붙을 수 있습니다.

 

5. 6% 대 (5%확률) --> S&P500 지수 8~10% 상승

   10월부터 이어져 온 이번 랠리의 상승 폭을 20% 이상으로 끌어올리면서, 기술적으로 베어마켓을 끝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 하락세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논리입니다. 2023년까지 헤드라인 CPI가 3%대로 떨어질 수 잇다는 관측에 자신감을 불어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연준은 5% 이상의 기준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그런 명분도 없어보입니다. 이런 FED의 전환은 주가를 비행기를 태우고 달나라로 가게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