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연준 3

미국 SVB 은행 파산이 미치는 영향

아래와 같이 어제 포스팅한 바와 같이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이 파산을 한 것이 고용보고서의 실업률 증가, 임금 상승률 둔화의 좋은 면 보다 더 많이 반영되어 미국의 3대지수가 많이 내렸습니다. 스타트업에 집중된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 SVB가 파산하게 된 이유는 계속되는 고금리 정책 때문입니다. 스타트업 기업들은 유동성이 부족한 기업들입니다. 그런데 긴축정책이 계속되자 기업들의 유동성이 고갈되었고, 이로인해 유동성이 고갈된 기업들이 예금을 인출해 가기 시작합니다. 결국 지급준비금이 부족해지는 은행이 가지고 있던 증권을 팔아 부족해진 현금을 채운 것입니다. 고금리 정책 > 유동성 고갈 > 예금 인출 > 지급준비금 부족 > 증권 팔기 > 현금 보충 미국 월스트리트의 대형 은행들이 9일(현지시간) 팬데믹(전염..

[경제진단] 긴급진단, 정부 50조 투입 왜 하나?

미국의 금리 인상의 펀치가 서서히 전세계 곳곳에 경제의 이상 현상을 나타나게 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닌 것 같습니다. 정부가 긴급하게 50조를 채권시장에 풀기로 했다는 뉴스가 속보로 나왔습니다. 일요임에도 불구하고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가 열렸네요. 그만큼 똥줄이 탄다는 것이겠죠. 우리나라의 경제 수장 5명이 모두 모여서 긴급회의를 했다는 것입니다. 사태가 발생되고 있다거나, 땜이 터지기 전이거나 이겠죠. 몇 일 전에 영국에 채권시장 무너지는 것 처럼, 한국도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닌가라고 많은 분들이 의심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레고랜드발 PF사태가 대체 얼마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것인지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돈을 이렇게 풀면 발생되는 인플레이션은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 금리 ..

[금리] 미국 11월 FOMC 회의 일정, 갑자기 왜 태세가 바뀌나?

11월 미국 기준금리를 확정할 FOMC 회의 일정은 11월 2일 입니다. 전 일주일 부터 블랙아웃 기간으로 10월 24일 부터 입니다. 미국의 채권 금리를 급등시킨 것은 일본이 범인이였습니다. 미국 채권 금리가 상승하니까. 우리나라 채권금리도 같이 상승하고, 거기다 회사채 문제까지 엮이면서 대한민국의 채권시장이 우려가 되었는데 미국채권 금리 상승 이유를 알고 보니까 일본과 연관이 있었더라 그렇게 보면은 미국채권금리 상승으로 인해서 한국 시장에 우려되는 것들이 다소 안정될 수가 있다. 미국채권 금리 상승은 기준금리가 더 높아 질 것이라는 관점에서 기인한 점도 있고, 이것은 우리나라 경제에 악재가 되는 것이고, 반대로 일본이 미국채권을 팔아버리면 채권가격이 떨어집니다. 채권가격이 떨어지니까 금리가 오를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