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돈/경제를 보는 눈 107

주식 강세장 진입, 비트코인 너도 걱정할 필요없다!

어제 발표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급증하자 금과 은의 가격은 오늘 크게 상승했습니다. 가격 추세를 보시면 거의 정확하게 달러와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은 역시도 금과 비슷하게 달러의 상대적 자산이며 금보다 변동성만 더 크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은보다도 변동성이 더 큰 암호화폐 시장은 오늘 약세에도 불구하고 크게 상승하지 못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나 세계 1위, 2위 거래소가 연 이틀 기소당한 악재 그늘이 아직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바이낸스와 코인 베이스의 연이은 기소로 크게 하락했다가 저가 매수세가 몰리며 다시 크게 상승했고 현재는 정확히 그 중간 정도 지점에서 가격이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는 단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로 인해 오늘 랠리의 ..

비트코인 반감기 도래....왜 투자해야 하나?

먼저 선입견을 버리고 코인을 보아야 합니다. 비트코인은 사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좀 있는 것 같은데요... 왜냐하면 뉴스를 틀면 거래소가 망했다고 하고 주변에 친구들을 보면 아 뭐 무슨 무슨 코인 샀는데 갑자기 올라가듯 하다가 갑자기 폭락하더니 문 닫고 없어졌다... 아니 화폐나 어떤 가치가 있으려면 이게 영속성이 있어야 될 거 같은데... 비트코인은 일반인들의 눈에는 사기로 보일 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화폐라면 국가가 뭘 하든가 아니면 금처럼 원래 옛날부터 화폐였던가 아니면 쌀이나 담배처럼 그 자체로 가치가 있어야 되는데요... 뭐가 없습니다. 근데 비트코인은 국가가 보증하지도 않고 전통적인 그런 금처럼 쓰인 것도 아니고 그 다음에 먹을 수도 없고, 비트코인을 놓고 일반인들이 이건..

부채한도가 몰고온 나비효과, 나스닥 조정이 이루어지나?

6월 5일을 마지노선으로 설정하고, 미국 하원 공화당과 교섭을 벌였던 미국 부채한도 증가 협상안이 의회를 통과함으로 일단락 되는 듯... 보였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부채한도 증가안에 대한 의회 통과 및 바이든의 서명 이후... 미 재무부가 대규모 국채를 발행해 국고를 채우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이것은 시중의 유동성을 블랙홀 처럼 흡수해 버리는 효과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모간스탠리에 따르면 재무부가 현금잔고를 4분기 7천억 달러 목표로 재구축한다는 것은 향후 3개월 동안 약 7,300억 달러의 국채를, 6월부터 12월까지 1조 2,500억 달러의 국채를 발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대규모 국채 발행이 가뜩이나 은행위기로 뱅크런이 재발될 수 있는 상황에서 시중의 유동성을..

미부채 한도 해결, 연준은 침묵: 이번 주에 주목할 사항은 무엇인가?

지난 주, 강력한 취업 보고서와 국가의 차입 한도 상향 조정 계약, 그리고 6월 13일부터 14일까지 예정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정책 회의를 앞둔 조용한 기간의 시작으로, 투자자들은 다가오는 주에 어느 정도의 안도감을 느낄 것입니다. 현재 연방준비제도의 움직임을 살피는 투자자들은 2주 후에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멈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일부 경제학자들은 5월 고용보고서가 연방준비제도의 역할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입증한다고 씨부리고 있습니다. 지난 달 미국 경제는 3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난 1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애플은 월요일 쿠퍼티노,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본사에서 개최되는 최신 세계 개발자 대회가 이번 주의 가장 큰 이벤트 중 하나로, 아이폰..

오늘은 PCE 지수 발표되는 날입니다.

오늘 발표된 지표들이 조금 애매했는데요..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너무 낮았습니다. 이번 주 청구권 수는 22만 9천 건으로 지난주보다 높아지긴 했지만, 정작 지난주 수치가 242,000건에서 225,000건으로 대폭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한마디로 미국의 고용이 아직도 강한 것입니다. 그리고 강한 고용은 강한 임금 그리고 강한 물가로 이어져서 별로 좋지 않습니다. 또한 경기침체의 절대 조건 중에 하나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실업률인데 지금은 그것과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GDP 2차 추정치가 발표되었는데 지난번에 전년대비 1.1% 성장해서 1.3% 성장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지난 추정치보다는 미국 경제가 좋다고 본 것입니다. 미국의 GDP는 총 세 차례에 걸쳐 발표가 됩니다. ..

테슬라 주총, 2023 주주총회에선 어떤 내용이...

테슬라 2023 주총 요약 입니다. 좋은 소식들도 한가득이네요... - 일론은 Tesla 그만 두지 않는다. - 사이버트럭 드디어 올해 인도한다. 느낌상 11월 이후 일듯... - 테슬라의 기능을 모르는 사람들, EV 홍보를 위한 약간의 광고를 시도해볼 계획 - 테슬라 공동설립자 JB 스트라우벨 이사회 선출 - 일론 CEO 자리 유지 (루머 일축) - FSD 베타 누적 마일리지 : 190M 마일 - 차세대 차량 2종 공개 예정 (연간 500만대 규모) - 연말, 테슬라 보험 플로리다 출시. - 메가팩은 기존 에너지원과 비용 경쟁력이 있으며, 메가팩 수요는 장기적으로 500GWh, 현재는 20GWh. - 1년간 마켓을 보지 마라. 하락세라면 하락세에 스톡을 사라. 결론. 테슬라는 FSD가 기다려진다. 사고..

미국 부채한도 협상, 정말 리스크일까?

요즘들어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이슈입니다. 부채한도 협상이라는 약간은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만 설명을 드리면 미국은 국가채무가 일정 한도를 벗어날 경우에 정부가 의회의 동의 없이 재정적자를 일으킬 수 없는 제도가 있습니다. 만약에 정부가 돈을 쓰다가 한도에 딱 막힐 경우에 의회의 동의가 있어야만 다시 한번 부채 한도를 늘리면서 돈을 더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미국의 부채한도 차트인데요 보라색이 미국에 부채 한도이고 파란색이 실제 정부의 부채를 나타낸 것입니다. 차트를 잘 보시면은 보라색이 먼저 늘어났다가 실제로 정부 부채인 파란색이 보라색을 딱 터치하게 되면 다시 한번 보라색이 또 이렇게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니까 항상 미국은 돈을 마구마구 쓰다가 한도에 막히면 늘 한도를 늘려가면서 나라 ..

PPI, 생산자 물가지수, 오늘은 PPI

어제는 염려했던 4월 CPI가 비교적 나쁘지 않게 공개되어 추가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낮추는 영향을 주며 증시에 좋은 방향으로 흘렀습니다. 주거비가 드디어 꺾이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보며 시장은 매우 반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난달 전년대비 8.2% 상승했던 주거비가 이번달 8.1% 상승으로 상승률이 하락했습니다. 계속해서 오르기만. 하던 주거비 상승률이 아주 오랜만에 하락한 것인데요... 월간 기준으로 보더라도 상승률이 확연히 둔화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주거비가 이렇게 하락추세를 이어간다면.. 물가는 급격한 하방 압력을 받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주거비가 근원 소비자 물가에서 40% 이상을 차지하는 최중요 비중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CPI는 좋았는데요.. 오늘 저녁에는 생산자 물가지수 PPI가..

CPI, 소비자물가지수, 걱정했지만... 예상 적중하니 시장 반응이..

5월초 FOMC에서 25bp Baby Step을 하고 이제는 더 이상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고.... 하지는 않았지만.. ㅎㅎ 투자자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Data가 인플레이션이 내려간다는 신호가 없으면... 어찌 될지 모른다가 컨센서스였고, 더군다나, 어제 연준 관계자가 올릴 수 있다고 언급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의 CPI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는데요... 9시 30분에 발표된 근원 CPI 물가는 예측치와 동일하게 5.5%로 나왔습니다. 전년대비, 전월대비 모두 예상치와 동일한 수치가 나왔는데요... 헤드라인 CPI는 예측치보다 0.1% 낮은 값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예측치와 동일한 경우 시장의 반응을 예상한 업체들이 많았는데요.. 모두 보합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나..

CPI, PPI 이번달은 심상치 않을 듯...

5월 10일 수요일 CPI, 5월 11일 목요일 PPI 가 발표됩니다. 작년부터 쭈~~~욱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이 모든 것이 인플레이션 때문이였습니다. 지난 달까지 CPI 및 PPI는 지속적으로 완화되는 경향을 보여 왔고, 5월 FOMC에서 25bp 금리인상을 한 후에 이제는 더이상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시장에서는 하고 있는데... CPI 및 PPI 지표가 여전히 높게 나오면 그부분도 흔들리게 되어 증시도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리가 이렇게 올라가니까, 시장의 아우성이 여기저기에서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의 지방 은행들 모두 파산 각이다, 상업용 부동산 반토막났다, 이것이 제2의 리먼 브라더스 사태 아니냐?" 실제로 파산 규모는 이미 리만 브라더스..

반응형